'그린워싱'이란 말, 들어보셨나요?

기업이나 브랜드가 실제로는 친환경적이지 못하면서

'친환경'이라는 이미지로 자신을 덧칠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린마케팅의 잘못된 사례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 한 보고서에 따르면,

무려 95%에 해당하는 '친환경' 제품들이 사실상 '그린워싱'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이 보고서가 명시한 그린워싱의 요소에는,

근거없는 주장, 애매모호한 표현, 감춰진 기회비용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즉, 이른바 친환경 제품으로 마케팅 되고 있는 제품들중 대부분이

이런 요소들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죠.


이를테면, 구체적인 수치나 근거 자료 없이 무작정 '우리 제품은 친환경적이다.'라고 주장하거나,

'mother-earth approved'와 같은 동화책에서나 볼 법한 모호한 표현을 제품에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린마케팅이 마치 유행처럼 번지면서, 그린워싱 사례 또한 그 수가 늘어났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과 2010년을 비교해볼 때,

스스로를 '친환경'적이라고 마케팅하는 제품들은 무려 73%나 증가했지만,

'그린워싱'의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진짜' 친환경 제품은

2%에서 4.5%로, 2.5%P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굳이 좋은 소식을 찾자면, 그나마 조금이라도 진정성 있는 친환경 제품들이 늘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진정성 있는 친환경 제품들을 가려내는 것은, 결국 소비자의 몫이겠죠?


친환경을 단순히 소비의 대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실천해야 할 행동의 하나로 생각할 때,

기업들도 친환경을 단순히 마케팅의 대상이 아닌 실천해야 할 행동으로 인식하게 되지 않을까요.


원문 : sinsofgreenwashing.org/findings/greenwashing-report-2010

출처 : slowalk님의 블로그 : http://slowalk.tistory.com/559

 

 

 

관련기사목록

  
 언제부터인가 ‘녹색’, ‘친환경’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저 씽아도 전기 자동차, 녹색 첨단기술 전시회 등 친환경 관련 취재를 많이 해서 그런지 녹색이라는 말이 낯설지가 않습니다. ^^

 

 녹색 산업은 차세대 성장 동력뿐만 아니라, 환경 경영, 재생, 지속 가능, 친환경, 무농약, 유기농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죠. 그래서 그런지 기업들이 앞다투어 녹색 마케팅을 하고 친환경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수많은 제품들이 과연 정말로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제품일까요? 이러한 의문에서 시작된 단어 ‘그린 워싱(green washing.)’ 그린 워싱이란 기업이 친환경을 내세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실제로는 친환경이 아니어서 소비자를 속이는 행동, 즉 친환경인척 하다라는 뜻입니다.

 

 제품에 친환경, 유기농, 녹색 등의 문구를 붙여 마치 친환경 제품인양 홍보하지만 실제로는 친환경 제품이 아니며, 마치 돈을 부정한 곳에 사용하도록 돈을 처리하는 행위를 돈 세탁이라 하는 것처럼 그린이 아닌데 그린인 것처럼 하는 것을 그린 워싱이라 하는 것입니다.

 

 미국의 친환경 마케팅 조사업체 테라초이스는 최근 ‘그린 워싱의 7가지 죄악’이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7가지 모두 돈세탁처럼 부도덕한 행위인 것은 분명하죠. 기업들은 돈을 벌기 위해서는 친환경이 아닌 제품을 친환경인양 속여 팔고 되려 환경파괴를 하기도 합니다. 소비자는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그린 워싱의 사례를 찾아내어 기업들이 정말로 친환경적인(real green) 제품을 만들어내도록 도와야 합니다.

[원문] 그린워싱